우리가 가장 크게 잘못 알고 있는 상식 중에
하나는 바로 우리의 식문화이다.
한국인의 정을 운운하며
찌개 하나를 가운데 놓고
여럿이서 수저를 들이대 먹는
식문화는 익히 유명하다.
위생문제라던가
여러 문제 측면에서 지적을 받아온 식문화다.
애써, 일본의 1인 1밥상 문화와 비교해서
한국인의 정으로 포장해서 얘기하곤 한다.
더욱이 일본음식의 유행
일본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 접하는
정갈한 1인 1상 차림에 대한 동경은
찌개에 다같이 수저를 얻는 우리의 문화를
묘하게 비하시키곤 한다.
푸짐한 한상을 위해
다같이 반찬을 공유하고
찌개 하나를 공유하는 문화는
꽤나 그럴싸하게 마치 우리의 전통문화인것마냥
포장돼 왔고, 많은 이들이 우리 식문화에 대해
잘 모르고 큰 착각을 하게 했다.
즉, 우리는 전통적으로
1인 1상을 받는 문화였다는 것을 아는 이는 별로 없다
우리가 흔히 사극에서
궁중에서 큰 잔치가 열렸을 때
많은 대신들 앞에 독상이 놓여있는 모습을 본 적이 있을것이다.
즉 그런 문화가
특권층, 고위층의 문화가 아니라 우리나라 위에서 아래까지
모든 계층에서 이루어졌던 독상 문화였다는 것이다.
조선 후기 사진
실제로 우리나라는 사회적 고하를 막론하고
어린아이에게까지도 독상을 주었던
독상 문화의 나라였다.
이에 대한 증거는 수 없이 많이 있다.
마치 유서 깊은 양반 가문에서나 독상문화가 있었던 것처럼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우리나라는 전체가 독상문화였다.
일제시대 때,
일본의 스끼야끼, 나베 요리등이 보급되고
오히려 다 함께 같이 먹는 일본의 식문화가
전파되고, 먹고살기 힘든 일제강점기, 6.25 등으로 인해
독상을 차릴 수 있는 여건이 안되서
함께 나누어 먹던 것이 자연스럽게 퍼져서
그 것이 마치 우리의 전통식문화인것 처럼
우리 스스로에게도 인식되었던 것이다.
즉 우리나라가 현재 처럼
다 함께 반찬을 놓고, 찌개를 함께 먹으며
지냈던 것은 불과 100년도 채 되지 않은 일이라는 것이다.
우리 문화는
우리가 알아가고
존중해야되는 것임을 생각해야 할 것 같다.
'기타 > 알아두면 좋을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의 밥상문화, 한국이야 말로 원래 1인분 독상 문화였다. (7) | 2016.12.21 |
---|---|
워터파크의 실상 [여름 물놀이] (2) | 2014.08.01 |
패키지 여행 가격의 허상, 패키지 여행 (6) | 2013.02.20 |
자동차 고장 진단 (0) | 2011.05.10 |
UFO 관련 비밀문건 MJ-12작전 극비문서 한국최초 공개 (8) | 2010.11.26 |
이래도 안일어나면 인간이길 포기한 것이다. (13) | 2010.03.15 |
이심전심 以心傳心의 어원 (2) | 2009.05.03 |
[선문답] 쥐가 고양이 밥을 먹다가 밥그릇이 깨졌다. 이게 무슨 뜻이냐? (2) | 2009.05.03 |
-
-
-
나이트엔데이 SUPERCOOL. 2017.08.25 09:00 신고
그쵸. 정성이 더욱 느껴지는게 1인상의 매력이지 않을까 싶어요 그래서 요새 약간 감각적으로 집밥해먹는 분들이 1ㄷ인상 연출을 잘 하시죠.
-
나이트엔데이 SUPERCOOL. 2017.08.25 09:00 신고
그쵸. 정성이 더욱 느껴지는게 1인상의 매력이지 않을까 싶어요 그래서 요새 약간 감각적으로 집밥해먹는 분들이 1ㄷ인상 연출을 잘 하시죠.